청렴은 O2다 제주시 정보화지원과 김윤영 호남도민신문 hnnews365@naver.com |
2023년 12월 06일(수) 09:49 |
![]() |
제주시 정보화지원과 김윤영 |
이미 경제 대국으로 부상한 중국이 미국을 능가하는 선진국이 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 가운데 하나가 바로 '부패'라는 말도 있다. 청렴은 예로부터 국가 도덕성의 기본이 돼 왔고, 이를 근간으로 국민 정서를 지배해 왔으며 청렴이 국가경쟁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우리나라는 조사 대상 180개국 중 31위를 기록했다. 지난해보다 한 단계 상승했으며 역대 가장 높은 성적이다. 우리나라는 김영란법을 시행한 2016년부터 52위(53점)에서 6년 연속하여 순위가 올라가고 있는데 2017년 51위, 2018년 45위, 2019년 39위, 2020년 33위, 2021년 32위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평가 순위를 보면 여전히 아시아·태평양 국가에서는 뉴질랜드(2위), 싱가포르(5위)에 이어 홍콩(12위), 호주 (13위), 일본 (18위), 대만 (25위) 등이 한국보다 순위가 높다. 아무리 부패를 막는 법률이나 규정을 잘 만들었다고 해도 지켜지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다.
청렴이란 산소(O2)와 같다. 산소는 평소에는 그 존재를 느끼지 못하지만, 산소가 없으면 인간은 살아갈 수 없다. 청렴 또한 ‘지키면 좋은 것’이 아니라 ‘지켜야 사는 것’이다.
매일 산소를 마시는 것처럼 청렴은 자연스럽고 당연한 것이 되어야 한다. 청렴이라는 문화 속에서 도시의 탁한 산소보다 자연이 전해주는 신선한 산소를 기대하면 무리일까?
호남도민신문 hnnews365@naver.com